구현이란 ?
구현이란, 머릿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코드로 바꾸는 과정이다.
흔히 알고리즘 대회나 코딩 테스트에서 구현 유형의 문제란 무엇을 의미할까?
풀이를 떠올리는 것은 쉽지만 소스코드로 옮기기 어려운 문제를 지칭한다.
구현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.
- 알고리즘은 간단한데 코드가 지나칠 만큼 길어지는 문제
- 실수 연산을 다루고, 특정 소수점 자리까지 출력해야 하는 문제
- 문자열을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끊어 처리해야 하는 문제
- 적절한 라이브러리를 찾아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
예시문제 1 (상하좌우)
여행가 A는 N x N 크기의 정사각형 공간 위에 서 있습니다. 이 공간은 1 x 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. 가장 왼쪽 위 좌표는 (1, 1)이며, 가장 오른쪽 아래 좌표는 (N, N)에 해당합니다. 여행가 A는 상, 하, 좌,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, 시작 좌표는 항상 (1, 1)입니다. 우리 앞에는 여행가 A가 이동할 계획이 적힌 계획서가 놓여 있습니다.
계획서에는 하나의 줄에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하여 L, R, U, D 중 하나의 문자가 반복적으로 적혀 있습니다. 각 문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L: 왼쪽으로 한 칸 이동
- R: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
- U: 위로 한 칸 이동
- D: 아래로 한 칸 이동
이때 여행가 A가 N x N 크기의 정사각형 공간을 벗어나는 움직임은 무시합니다. 예를 들어 (1, 1)의 위치에서 L 혹은 U를 만나면 무시됩니다.
입력 조건
- 첫째 줄에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N이 주어집니다.(1 <= N <= 100)
- 둘째 줄에 여행가 A가 이동할 계획서 내용이 주어집니다. (1 <= 이동 횟수 <= 100)
입력 예시
5
R R R U D D
출력 조건
- 첫째 줄에 여행가 A가 최종적으로 도착할 지점의 좌표 (X, Y)를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출력합니다.
출력 예시
3 4
해결 방법
- 이 문제는 요구사항대로 충실히 구현하면 되는 문제이다.
- 일련의 명령에 따라서 개체를 차례대로 이동시킨다는 점에서 시뮬레이션(Simulation) 유형으로도 분류 되며 구현이 중요한 대표적인 문제 유형이다.
- 다만, 알고리즘 교재나 문제 풀이 사이트에 따라서 다르게 일컬을 수 있으므로, 코딩 테스트에서의 시뮬레이션 유형, 구현 유형, 완전 탐색 유형은 서로 유사한 점이 많다는 정도로만 기억하자.
코드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int area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String[] move = br.readLine().split(" ");
int x = 1, y = 1;
int[] dx = {0, 0, 1, -1};
int[] dy = {1, -1, 0, 0};
char[] plan = {'R', 'L', 'D', 'U'};
for (int i = 0; i < move.length; i++) {
char m = move[i].charAt(0);
int nx = 0, ny = 0;
for (int j = 0; j < plan.length; j++) {
if (m == plan[j]) {
nx = x + dx[j];
ny = y + dy[j];
}
}
if (nx < 1 || ny < 1 || nx > area || ny > area) continue;
x = nx;
y = ny;
}
System.out.println(x + " " + y);
예시문제 2 (시각)
정수 N이 입력되면 00시 00분 00초부터 N시 59분 59초까지의 *모든 시각 중에서 3이 하나라도 포함되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 *하세요. 예를 들어 1을 입력했을 때 다음은 3이 하나라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세어야 하는 시각입니다.
- 00시 00분 03초
- 00시 13분 30초
반면에 다음은 3이 하나도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세면 안되는 시각입니다.
- 00시 02분 55초
- 01시 27분 45초
입력 조건
- 첫째 줄에 정수 N이 입력됩니다. (0 <= N <= 23)
입력 예시
5
출력 조건
- 00시 00분 00초부터 N시 59분 59초까지의 모든 시각 중에서 3이 하나라도 포함되는 모든 경우의 수를 출력합니다.
출력 예시
11475
해결 방법
- 이 문제는 완전탐색으로 충분히 풀 수 있는 유형의 문제이다.
- 입력된 n(시)까지 1씩 증가시켜 3이 포함된다면 경우의 수를 증가 시킨다.
코드
public class Implement2 {
static boolean check(int h, int m, int s) {
if(h % 10 ==3 || m % 10 == 3 || m / 10 == 3 || s % 10 == 3 || s / 10 == 3) {
return true;
}
return false;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//시각
//입력된 n(시간)까지 1씩 증가시켜 3이 포함되면 경우의 수가 추가되게 해보자 (완전탐색)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int 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int result = 0; //경우의 수
for(int h = 0; h <= n; h++) {
for(int m = 0; m < 60; m++) {
for(int s = 0; s < 60; s++) {
if(check(h, m, s)) result++;
}
}
}
System.out.println(result);
}
}
참고: 이코테2021
'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스택, 큐 문제들 (10828, 1406, 1966, 1158) (0) | 2024.09.25 |
---|---|
[백준] 1920번 : 수 찾기 (0) | 2023.10.26 |
구현 알고리즘 2 (0) | 2023.10.08 |
그리디 알고리즘 2 (예시 문제 3, 4) (1) | 2023.10.05 |
그리디 알고리즘 1 (0) | 2023.09.22 |